본문 바로가기
정보 끄적끄적

수건을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 올바르게 수건 사용하는 방법, 유기견 보호소에 기부하는 방법

by 봄꽃이랑 기쁨이랑 꽁냥꽁냥 2024. 6. 12.





수건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입니다. 하지만 오래 사용하다 보면 닳거나 손상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죠. 그렇다면, 낡은 수건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또한, 수건을 어떻게 사용하고 관리해야 위생적이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수건을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과 함께 올바른 사용법과 수건 기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건 분리수거 방법

1. 낡은 수건 버리기
- 낡은 수건은 일반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 수건은 의류수거함에 배출할 수 없는 품목이므로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일반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하면 됩니다.

2. 새 수건 버리기
- 새 수건도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 사용하지 않은 새 수건이라도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합니다.

3. 이불, 베개 등 기타 섬유제품 버리기
- 이불, 베개 등 다른 섬유제품도 수건과 마찬가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하면 됩니다.

 

수건 분리수거 시 주의사항

- 수건은 의류수거함에 배출할 수 없는 품목입니다. 의류수거함은 보통 의류, 신발, 가방 등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수건, 이불, 베개 등의 섬유제품은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 새 수건도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재사용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좋다면 기부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맞습니다.
- 이불, 베개 등 다른 섬유제품도 수건과 마찬가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수건 재활용의 장점

- 자원 절약: 수건을 적절히 버리면 자원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 환경 보호: 올바르게 처리된 수건은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분해되지 않는 섬유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 자원 순환 기여: 수건을 오래 사용하면 자원 순환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닳아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때까지 사용한 후 적절히 처리하면 자원 순환에 도움이 됩니다.

 

 

 

 

 

 

올바른 수건 사용법

1. 개인별 수건 사용
- 수건은 개인마다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 구성원 간에 수건을 공유할 경우, 세균과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2. 수건 종류별 사용 구분
- 얼굴용, 손용, 샤워용, 주방용 수건 등 용도에 따라 수건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얼굴용 수건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기 위해 자주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수건의 적절한 크기와 두께 선택
- 용도에 맞는 적절한 크기와 두께의 수건을 선택하세요. 예를 들어, 주방용 수건은 흡수력이 좋고 빠르게 마르는 얇은 수건이 적합합니다.

4. 수건 사용 후 충분히 건조하기
- 수건을 사용한 후에는 잘 건조시켜야 합니다. 젖은 수건은 세균 번식의 원인이 되므로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걸어두고 완전히 말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정기적인 세탁
- 수건은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세탁해야 합니다. 얼굴용 수건이나 손수건은 매일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 세탁하면 세균과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6. 적절한 세제 사용
- 수건 세탁 시에는 적절한 양의 세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세제는 수건에 남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수건 관리 팁

1. 따로 세탁하기
- 수건은 다른 빨래와 섞지 말고 따로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옷에 묻은 오염물질이 수건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2. 표백제 사용 자제
- 표백제는 수건의 섬유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을 피하세요. 대신 베이킹 소다나 식초를 이용해 세탁하면 좋습니다.

3. 자연 건조 추천
- 수건을 건조기보다는 자연 건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수건의 섬유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수건 재활용 방법

1. 재사용 아이디어
- 오래된 수건은 청소용 걸레나 반려동물용 수건으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작은 조각으로 잘라서 먼지 제거용 클리너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기부하기
- 상태가 양호한 수건은 지역 동물 보호소나 비영리 단체에 기부할 수 있습니다. 수건은 동물 보호소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유기견 보호센터에 기부하기

버림받아 보호받고 있는 유기견들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이불과 수건을 기부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이불과 수건은 동물 보호소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 중 하나입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수건과 이불을 기부할 수 있는 곳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부품목
- 항상 필요한 품목: 대형 장작, 비치타월, 얇은 누빔패드, 피그먼트, 담요, 물티슈, 대형배변패드, 탈취제
- 폐기처리되는 품목: 솜이불, 요, 카펫, 러그 등 무겁고 두꺼운 이불, 베개커버, 이불 커버 등 커버류, 전기장판, 놀이매트 등, 샤워가운, 아기 겉싸개/속싸개

 

종합유기견보호센터
- 홈페이지: [zooseyo.or.kr](http://www.zooseyo.or.kr)
- 고객센터: 02-6494-0330

홈페이지 내에 기부 관련 문의글을 남기는 공간은 없습니다.
고객센터로 전화하여 문의하면 됩니다.

 

종합유기견보호센터

유기견보호센터,공식유기견보호센터,유기견찾기,강아지보호소,분실,실종신고,무료분양,고양이,봉사후원

www.zooseyo.or.kr

 

사단법인 띵독에 기부하기
사단법인 띵독에서도 이불, 수건, 후원품을 받습니다.

- 주소: 충북 충주시 창현로 1395
- 연락처: 010-4466-8098
- 받는이: 띵독
- 문의: thinkdog8098@naver.com
- 홈페이지: [thinkdogkorea.org](https://thinkdogkorea.org/Location)

 

 

 

기부

띵독 아이들을 위한 물품기부

thinkdogkorea.org

 

수건은 다 펴서 접어서 보내면 됩니다.
배송을 보내실 때는 착불이 아닌 선불로 배송비를 지불해야 합니다.
기부한 수건은 아이들 목욕할 때, 견사 청소할 때 사용됩니다.
이불은 아이들 바닥 깔개로 사용하여, 바닥에서 올라오는 한기를 막아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수건을 올바르게 버리고 사용하는 것은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 큰 도움이 됩니다. 수건은 일반 쓰레기로 분류하여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또한, 수건을 개인별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세탁하며, 적절히 관리하면 수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수건은 재활용하거나 기부하는 등 환경을 생각하는 작은 실천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관련 포스팅 더보기

 

무료로 폐가전제품을 처리하는 방법,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 안내

집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폐가전제품이 있으신가요? 이런 제품들을 버리기 위해 주민센터에 폐기물 수거 신청을 하고 수수료를 납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상 방문 수거

seuni80.tistory.com

 

의류 재활용을 위한 올바른 의류수거함 사용법, 금지 물품 목록

의류수거함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재활용 도구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헌 옷이나 신발, 가방 등을 버리기 위해 의류수거함을 이용하지만, 모든 물품을 넣을 수 있는 것은 아

seuni80.tistory.com

 

쉽고 정확한 이불 분리수거 방법, 유의사항 및 대형 폐기물 처리 방법

우리 일상에서 사용되는 이불은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하는 필수품입니다. 그렇다면 오래된 이불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적절한 분리수거와 폐기물 처리는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을 절약

seuni80.tistory.com

 

스타벅스, 환경보호를 위해 전국 매장에 텀블러 세척기 도입

스타벅스가 환경 보호를 위해 소비자들이 더 쉽게 다회용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 매장에 텀블러 세척기를 도입했습니다.       스타벅스는 2026년까지 전국 모든 매장에 텀블러 세척기를

seuni8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