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실물수거1 디지털 시대 속 우체통의 재발견, 분실물부터 재활용, 폐의약품, 고민상담까지, 새로운 역할과 활용 방안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편지나 엽서 같은 전통적인 우편물의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그에 따라 우체통의 수와 우체국의 수까지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에 44억 통이 발송되던 일반우편 물량은 2021년에는 23억5333만 통으로 46.5% 감소했습니다. 우편물의 감소는 우체통의 수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정사업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2012년 1만9428개였던 우체통의 수는 2022년에는 9114개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10년 만에 절반 넘게 감소한 수치입니다. 우체국 또한 같은 운명을 겪고 있습니다. 2012년에 1723개였던 6급 이하 우체국 수는 2021년에는 1454개.. 2024. 8.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