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해서 끄적끄적

친구에게 끌려다니는 우리 아이, 단단한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비법

by 봄꽃이랑 기쁨이랑 꽁냥꽁냥 2025. 5. 2.

요즘 아이들은 친구나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의견을 내기보다 주변 분위기에 따라 행동하거나, 친구의 말에 끌려다니는 아이를 보면 부모 입장에서는 걱정이 앞설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이가 주체성을 가지고 단단한 마음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가 흔들리지 않고 자기 생각을 분명히 하도록 돕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목차

1. 끌려다니는 아이의 특징과 원인
2. 단단한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역할
3. 자기주장을 키우는 대화법
4. 친구 관계에서 당당한 아이가 되는 방법
5. 부모가 실천해야 할 5가지 방법

 

 

 

 

 

 

1. 끌려다니는 아이의 특징과 원인

“엄마, 친구가 이거 하래서 했어…”
“나는 괜찮았는데, 친구가 싫다길래 그냥 안 했어.”

이런 말을 자주 하는 아이가 있다면, 친구 관계에서 자기 의견을 내지 못하고 끌려다닐 가능성이 큽니다.

끌려다니는 아이의 특징

✔ 친구의 말에 쉽게 동의한다.
✔ 자신의 의견을 내기 어려워한다.
✔ 거절을 하면 친구가 떠날까 봐 걱정한다.
✔ 친구가 하자는 대로 따라가는 일이 많다.
✔ 싫어도 “네”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아이들은 자라면서도 주변의 영향을 지나치게 많이 받으며, 자신의 선택보다 타인의 선택을 우선시하는 습관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단단한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역할

부모가 아이에게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아이는 더 이상 주변에 끌려다니지 않습니다.

✔ “이거 하기 싫었어?”
✔ “어떤 점이 불편했어?”
✔ “네 생각은 어때?”

이렇게 아이의 의견을 듣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해야 할 일

• “네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 싶어.” →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 주기
• “너는 어떻게 하고 싶어?” → 자신의 의견을 말할 기회 주기
• “싫으면 싫다고 말해도 괜찮아.” → 거절하는 연습 시키기

 

 

 

 

 

 

3. 자기주장을 키우는 대화법

아이들은 “거절하면 친구가 싫어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주장을 하는 아이들은 관계에서 더 건강하고 주체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부모가 가르쳐야 할 대화법

“나는 이렇게 생각해.” → 자신의 의견을 확실히 표현하는 법
“이건 싫어.” → 거절하는 법
“나는 이게 좋아.” → 자기 선택을 존중하는 법

(X) “무조건 친구랑 잘 지내야 해!”
(O) “친구와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어. 그래도 친구는 너를 좋아할 거야.”

아이에게 모든 관계에서 꼭 맞출 필요가 없다는 걸 알려주는 게 중요합니다.

 

4. 친구 관계에서 당당한 아이가 되는 방법

1) “싫어요”라고 말하는 연습하기

아이들이 친구에게 “싫어”라고 말하는 것이 어렵다면, 부모와 함께 연습해 보세요.
예) “이 장난감 나한테 줘!” → “싫어, 나는 이거 가지고 놀고 싶어.”

2) 자기 의견을 말하는 연습

아이가 무슨 말을 하든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네!” 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3) 좋은 친구를 구별하는 법 가르치기

나를 존중해 주는 친구
내 의견을 들어주는 친구
나를 억지로 끌고 가지 않는 친구

이런 친구를 만날 때, 아이도 덜 휘둘리게 됩니다.

 

 

 

 

 

 

5. 부모가 실천해야 할 5가지 방법

1) 아이의 의견을 무시하지 않기

부모가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면, 아이도 자기 생각을 소중하게 여기는 법을 배웁니다.

2) 아이가 선택할 기회를 주기

“오늘 옷을 네가 골라볼래?”
“어떤 장난감을 사고 싶어?”
➡ 이렇게 작은 선택부터 스스로 하게 도와주세요.

3) 거절하는 연습 시키기

아이가 “싫어요”라고 말하는 걸 연습할 수 있도록, 부모도 아이의 거절을 인정해주세요.

4) “남들이 뭐라고 해도 괜찮아!“라고 말해주기

아이들은 친구의 시선을 많이 신경 씁니다. “너는 너야. 남들보다 네가 더 중요해.” 라고 알려주세요.

5) 아이를 믿어주기

부모가 “넌 스스로 잘할 수 있어.“라고 믿어주면, 아이는 더 강해집니다.

 

단단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부모의 역할

아이를 단단하게 키우려면, 부모가 먼저 아이를 믿어주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야 합니다.

✔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 거절하는 연습을 시키며
✔ 아이가 친구에게 휘둘리지 않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아이가 더 이상 끌려다니지 않고 주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관련 포스팅 더보기

 

형제·자매가 싸울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부모의 실수 3가지

형제·자매 싸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형제자매가 있는 집이라면 싸움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다툼이 반복되면 부모도 지치고, 아이들 사이의 관계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부

seuni80.tistory.com

 

“엄마, 친구들이 나 따돌려.”, 따돌림당하는 아이를 위한 부모의 현명한 대처법

아이들은 친구 관계에서 갈등을 겪을 수 있고, 때로는 따돌림을 경험하기도 합니다.이때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자존감, 사회성, 대인관계 능력이 크게 달라집니다.✔️ 절대

seuni80.tistory.com

 

잘못된 사랑이 아이를 망친다! 아이를 귀하게 키우면 오히려 망치는 이유

아이를 사랑하는 건 부모로서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원하는 것을 무조건 들어주고, 잘못된 행동도 그냥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요?“우리 아이가 행복했으면 좋겠어.”“상처받지 않고

seuni80.tistory.com

 

아이 앞에서 “돈 없어” 말하면 평생 가난 마인드 생긴다?

“우리 돈 없어”, “그건 비싸서 못 사”, “요즘 너무 힘들어”…이런 말, 무심코 아이 앞에서 하시진 않나요?부모는 단지 ‘사실’을 말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아이의 뇌는 그 말을 ‘세상

seuni80.tistory.com

 

“내 잘못 아니야!” 남 탓하는 아이, 원인부터 부모의 대처법까지!

“엄마, 내 잘못 아니야!”, “동생이 먼저 그랬어!”아이가 실수를 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마다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고 남을 탓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부모로서 걱정될 수 있습니다. 이런 행

seuni80.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