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페트병이나 캔에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를 마셔왔던 일상 속에서, 우리는 놀라운 위생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페트병 안의 세균 폭증, 오염된 캔의 감염성 위험, 이 모든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위험들에 대한 알람과 함께 건강한 음료 소비를 위한 조언을 살펴보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페트병이나 캔에 직접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는데, 이러한 행동은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페트병에 입을 댄 순간 페트병 안의 세균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오염된 알루미늄 캔의 입구에 입을 댄 경우 심각한 감염증에 걸릴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페트병에 든 생수를 입에 대고 마시는 순간, 그 자리에서 빠르게 다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페트병 뚜껑을 연 직후에는 물 1mL당 세균 수가 1마리였지만, 입을 대고 한 모금 마실 때는 세균 수가 900마리로 급증했습니다. 하루가 지난 뒤에는 4만 마리가 넘는 세균이 검출되었는데, 환경부의 기준에 따르면 1mL당 세균수가 100마리를 넘으면 그 물은 먹을 수 없는 수준으로 분류됩니다.
페트병에 입을 대면 물과 침이 자연스레 섞이고, 침에 있는 영양물질은 물속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세균이 많은 물은 복통, 식중독, 장염,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가 페트병에 든 물을 자주 섭취할 때 세균 감염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세균 활동이 활발해져 오염이 더 빨리 진행될 수 있습니다. 세균은 빠르게 증식하며, 4~5시간 만에 한 마리가 100만 마리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페트병에 있는 물은 가능한 한 컵에 따라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입을 댔다면 한 번에 남김없이 마시는 것이 위생적이며, 개봉한 지 하루가 지난 물은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세균이 남아있을 수 있어 다 쓴 페트병에 다른 물이나 음료를 보관하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자판기에서 편리하게 뽑을 수 있는 알루미늄 캔 음료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지만, 그 입구에는 놀랄만한 위생 문제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진열 기간 동안 캔에 먼지가 쌓이고, 유통 과정에서 사람 손에 노출된 세균이 캔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황색포도상구균과 용혈성바실러스균과 같은 감염균이 캔 음료 외부와 입구에서 검출되었습니다. 이러한 세균은 면역반응장애 등 특정한 환경에서 병원성을 갖게 되는 기회 감염균으로, 면역력이 약한 아이나 노약자에게는 심각한 위험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비위생적인 보관 환경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캔 음료를 보관하는 창고는 쥐가 서식하기 좋은 공간이기 때문에 쥐 오줌에 유발되는 '렙토스피라증'에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은 갑작스러운 발열, 오한, 두통을 동반하는 감염증으로,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간이나 콩팥 손상, 뇌막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위생적인 창고에서 보관된 캔 음료에 입을 대면 쥐 오줌에 직접 노출될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물티슈나 휴지로 캔 입구를 닦으면 검은 먼지가 묻어나오기도 하지만, 흐르는 물을 이용해 캔 입구를 헹궈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빨대나 컵을 사용하여 마시는 것이 위생적인 대안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음료를 마시는 습관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편의점이나 자판기에서 편하게 뽑아 마시는 순간, 우리는 숨겨진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세균이 피어나는 순간, 우리는 조금 더 신중하게 선택하고 신선한 음료를 즐겨봅시다.
'정보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수가 수돗물보다 더러울 수 있다? (188) | 2024.01.28 |
---|---|
부산을 빛낼 디지털 공간, '용두산 미디어 파크'의 다채로운 콘텐츠 (217) | 2024.01.27 |
김정은, 몇 달 안에 한국에 치명적 군사 도발 가능성 (156) | 2024.01.26 |
앨라배마주에서의 혁신적인 사형법, 질소가스 주입 25일 첫 집행 (193) | 2024.01.25 |
오늘부터! 청년도약계좌로 더 많은 혜택을 누리다, 청년희망적금의 새로운 길 (140) | 2024.01.25 |